이번에는 네이버에서 서버를 생성하고 젠킨스를 설치하고자 합니다.
그런데 시작부터 어려웠습니다.
1. 하이퍼바이져?
하이퍼바이저는 컴퓨터 하드웨어에서 여러 개의 가상 머신을 실행하기 위한 가상화 소프트웨어입니다.그리고 KVM(커널 기반 가상 머신)과 Xen(젠)은 두 가지 주요 하이퍼바이저 중 하나입니다.
- KVM(커널 기반 가상 머신):
- 리눅스 커널에 기반한 오픈 소스 가상화 솔루션.
- 하드웨어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여 가상 머신을 실행함.
- 리눅스 커널에서 직접 지원되어 성능과 안정성이 뛰어남.
- Xen(젠):
- 오픈 소스 타입 1 하이퍼바이저.
- 리눅스, 윈도우 등 다양한 게스트 운영 체제를 지원함.
- 하드웨어와 직접 상호 작용하여 가상 머신을 관리하는 타입 1 하이퍼바이저.
이때 타입 1 하이퍼바이저는 호스트 운영 체제 위에서 직접 실행되며, 더 적은 계층과 높은 성능을 제공합니다. 이러한 환경은 주로 서버 가상화에 적용되며, Xen과 VMware ESXi가 이에 해당합니다.
네이버가 1년 무료 제공하는 micro 서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KVM을 선택해야 했습니다.
2. VPC, Subnet?
VPN ( Virtual Private Network )
- 역할 및 목적:
-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상의 사설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구성하는 서비스.
- 가상 서버, 데이터베이스, 로드 밸런서 등의 클라우드 리소스를 안전하게 배치하고 관리할 수 있음.
- 주요 특징:
- IP 주소 할당: 사용자가 VPC에서 사용할 IP 주소 범위를 정의하고 할당할 수 있음.
- 서브넷 구성: 여러 서브넷을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세분화하고 리소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.
- 보안 그룹 및 네트워크 ACL: 보안 그룹과 네트워크 ACL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하고 보안을 강화할 수 있음.
- ACL:
- "Access Control List"의 약자로, 네트워크에서 특정 리소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기술. 주로 라우터나 스위치에서 설정되며, 네트워크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보안을 강화하는 데 사용.
- ACL:
- 인터넷 및 가상 사설망 간 연결: 외부 인터넷과의 연결을 통해 퍼블릭 서비스 제공 및 여러 VPC 간에 안전한 통신 가능.
- 활용 분야:
- 기업이나 조직이 클라우드 상에서 자체적인 가상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데 사용.
- 클라우드 리소스를 안전하게 배치하고 외부와의 연결을 통제할 수 있음.
Subnet
- 역할 및 목적:
- VPC 내에서 IP 주소 공간을 나누어 관리하고,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기술.
- VPC를 세분화하여 리소스를 특정 영역에 배치하고 관리할 수 있음.
- 주요 특징:
- IP 주소 할당: 각 서브넷은 자체적으로 IP 주소 범위를 할당받음.
- 네트워크 분할: VPC 내에서 여러 서브넷을 생성하여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분산하고 관리할 수 있음.
- 가상 리소스 배치: 서브넷 내에서 가상 서버, 데이터베이스 등을 특정 영역에 배치할 수 있음.
- 보안 및 권한 제어: 서브넷 단위로 보안 그룹과 네트워크 ACL을 적용하여 각각의 서브넷을 보호하고 관리할 수 있음.
- 활용 분야:
-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VPC 내에서 서브넷을 활용.
- 다양한 리소스를 논리적으로 구분하여 배치하고 관리할 수 있음.
3. CIDR 및 VPC 생성
위 사진에서 VPC 생성 단계에 들어가면 아래 사진을 마주합니다.
위 내용을 작성하려면 CIDR 표기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.
CIDR
- "Classless Inter-Domain Routing"의 약자로, IP 주소 체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라우팅하기 위한 주소 체계
- 표기법
- 주소/프리픽스 길이
- ex) 10.0.0.0/8
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,
ip주소는 32 비트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 10.0.0.0은 00001010.00000000.00000000.00000000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.
그리고 10.0.0.0/8은 왼쪽부터 8자리는 고정하고 9자리 부터 끝까지의 범위를 표현하는 겁니다.
즉 10.0.0.0/8은 00001010.00000000.00000000.00000000 ~ 00001010.11111111.11111111.11111111 의 범위를 표현하고 있습니다.
저는 10.0.0.0/16으로 VPC를 생성했습니다.
4. Subnet 생성
VPC를 생성하면 Subnet을 생성해야 합니다.
VPC를 /16으로 설정했으니 그보다 적은 범위인 /24로 Subnet을 설정했습니다.
인터넷 통신을 하려면 Internet Gateway를 Public으로 설정해야합니다.
이후 과정은 큰 어려움 없이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. 무료로 사용하실 분은 꼭 micro 서버를 사용하세요. 감사합니다.
'Infr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enkins, Github 연결 오류(HTTP ERROR 403 No valid crumb was included in the request 2023) (1) | 2023.12.08 |
---|---|
EC2 Docker에서 Spring boot 실행하기 (0) | 2023.11.27 |
EC2(Ubuntu)에 Docker 설치하기 (0) | 2023.11.26 |
EC2에 설치된 주피터 노트북 https 설정 및 백그라운드 설정 (2) | 2023.11.25 |
EC2에 jupyter notebook 설치하기 (2) | 2023.11.25 |